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하여, 많은 부작용들이 나왔다. 전력 수급을 원자력 대신 화석연료와 친환경 발전으로 대체하려는 계획은, 탄소 중립에 대해 불가능 한 현실로, 결국 원자력 발전으로 회귀하는 분위기이다. 한국의 두산 중공업은 세계적인 원자력 설비 기업이다. 원전 관련주와 두산중공업의 주가에 대해 살펴보자.
- 원자력 발전의 필요성
현 정부의 성급한 결정으로 탈원전 선언을 하면서, 많은 피해 기업들이 생겨 났다. 결론은 이득을 취한 기업이 누구인지 궁금할 정도이다.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은 내재가 되어 있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부득이하게 사용을 해야 하는 기술이다.
최근 가파른 지구 기후 변화의 원인은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생긴 문제에 대해서, 많은 국가들의 탄소 배출 절감, 탄소 중립을 외치고 있는 상황에서, 원자력을 당장 대체할 에너지가 없는 상황이다.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것이 그나마 효율이 좋은데, 탄소 배출의 원인인 화석 연료의 사용에 대한 부작용이 더 큰 상황이며, 신재생 에너지로 불리는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 역시 턱없이 부족하다.
태양광은 특히나, 많은 산들의 환경 파괴를 같이 동반하고 있어, 국토가 작은 대한민국의 현실과는 맞지 않다. 최근 몇 년간 고속도로에서 보이는 산들을 보면 아름다운 미관이 파괴된 모습이 종종 보인다. 이렇게 설치된 태양과 패널의 효율은 아직 20%도 되지 않는 상황이다. 실제로는 10% 전후의 효율을 생각하면 된다. 풍력은 당연히 바람이 있는 일부 지역에서만 가능하다.
대안이 있다. 수소 에너지 발전이다. 하지만 아직 기술의 발전이 필요한 상황으로 앞으로 10년은 기다려야 진정한 상용화가 예상된다. 그 시점까지는 원자력 발전을 이용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어쩔 수 없는 상황이다. 더욱이 자동차의 내연기관의 전 세계적인 축소 분위기에서, 전기의 사용량은 더욱 늘어날 것이므로, 대체 에너지의 사용까지는 원자력 발전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 정부도 이 부분에 대해서, 결국 인정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얼마전 한미 회담을 통해서, 원자력 발전에 대한 다시 운영을 하게 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보여주었다.
성급한 탈원전으로 국민들에게 돌아가는 피해 액이 조 단위이다. 전기세 인상 없이 탈원전 가능하다고 말했던 정부의 거짓말이 국민들에게 전기세 인상이라는 피해로 돌아오게 되었다. 아울러, 다시 원전사업을 한다고 하니, 해당 정책의 책임은 결국 국민들이 떠 않게 되는 형태이다.
- 두산 중공업
두산 중공업은 세계적인 원자력 발전의 플랜트 사업을 하고 있는 기업으로,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하여, 많은 피해를 보았다. 국내뿐만 아니라, 수출에서도, 자국에서도 금지된 원자력 발전 시설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나라가 많이 있을까?
하지만 대통령의 한미 회담 이후의 발표를 계기로, 가파른 상승을 보이고 있다. 1만 4천 원대의 주가가 1주일 사이에 50% 이상 급등하였다. 원전 사업의 1등 수혜자로 두산 중공업이 해당 사업의 대장주 이기 때문이다.
두산 중공업의 재무 재표를 보면, 탈원전 정책으로 최근 지속적인 적자를 면하지 못하고 있었다. 최근의 구조조정의 성공으로, 2021년 1분기 흑자로 전환한 상태이며, 원자력 사업이 다시 진행된다면, 두상 중공업의 흑자 전환이 예상이 된다. 한미간 원자력 협력을 하기로 한 회담 결과가 원자력 사업의 수출에도 좋은 흐름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 사이 된다.
- 그밖에 원전 관련주
1. 한전 KPS
한전 KPS는 발전 설비 업체이며, 한국 전력의 관계사로, 송전 변전소등 발전 관련 설비 관련 기업이다.
한전 KPS의 주가 흐름
한전 KPS의 재무 재표
2. 한전기술
한국전력기술로, 원자력 등 발전 사업을 위해서 생겨난 회사이다. 이 회사 역시 한전의 관계사이다.
한전기술 주가 흐름
한전 기술 재무 재표
3. 한전산업
한전 산업은 발전소의 운영 관리하는 것이 주 목적인 회사이다.
한전산업의 주가 흐름
한전산업 재무 재표
원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당분간의 흐름은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너무 급등한 것으로 보여 지므로, 조정기에 관심을 두고 지켜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재테크 > 주식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호 석유 주가 (NB 라텍스 수요 폭발 수혜주) (0) | 2021.06.04 |
---|---|
DB 하이텍 주가와 파운드리 가격 상승 (0) | 2021.06.03 |
현대차 반도체투자와 팹리스 관련주 (0) | 2021.06.01 |
주식 단기 투자 방법 (0) | 2021.05.31 |
아시아나 인수로, 한국 항공업계 독점지위 대한항공 주가 (0) | 2021.05.25 |